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고려시대 불교와 왕권의 상징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에 위치한 표충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로입니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7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향완은 고려 명종 7년(1177년)에 제작된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로입니다.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몸체와 받침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몸체는 주발 모양으로, 받침은 굽다리접시 형태입니다. 몸체와 받침의 경계 부분에는 은실로 새긴 난간이 둘러져 있습니다.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고려시대의 금속공예 기술이 집약된 작품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청동 은입사 향완 외관

형태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높이 27.5cm, 지름 26.1cm의 크기입니다. 몸체는 둥근 주발 모양으로, 받침은 굽다리 접시 형태입니다. 몸체와 받침의 경계 부분에는 은실로 새긴 난간이 둘러져 있습니다.

몸체의 중앙에는 은실로 새긴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연꽃무늬는 8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잎 사이사이에는 은실로 새긴 당초무늬가 있습니다.

받침의 중앙에는 은실로 새긴 보상화무늬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보상화무늬는 4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잎 사이사이에는 은실로 새긴 당초무늬가 있습니다.

문양

은입사 향완의 몸체와 받침에는 다양한 문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몸체의 중앙에는 연꽃 무늬가, 받침의 중앙에는 보상화 무늬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몸체의 연꽃무늬는 불교의 상징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합니다. 받침의 보상화무늬는 왕권의 상징으로, 왕의 권위를 상징합니다.

은입사 기법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은입사 기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은입사 기법은 금속으로 된 기구에 은으로 된 실을 이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을 새기는 세공 기술입니다.

향완의 은입사 기법은 매우 정교하고 세련된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은실은 얇고 가늘게 만들어져 있으며, 문양은 정교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상징적 의미

몸체와 받침에 새겨진 연꽃 무늬와 보상화 무늬는 각각 불교와 왕권의 상징으로,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이 지닌 종교적, 정치적 의미를 드러냅니다.

연꽃무늬는 불교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합니다. 또한, 연꽃은 흙 속에서도 깨끗한 꽃을 피우는 것으로, 번뇌와 고통 속에서도 진정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상화무늬는 왕권의 상징으로, 왕의 권위와 위엄을 나타냅니다. 또한, 보상화는 태양과 달을 상징하기도 하여, 왕의 영원한 통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통해,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불교와 왕권이 결합된 고려시대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발견 및 지정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1957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경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향완은 흙 속에 묻혀 있었으며, 은입사 기법으로 장식된 문양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있었습니다.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7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보존 상태

이 청동 은입사 향완은 1957년 발견 당시 흙 속에 묻혀 있었으며, 은입사 기법으로 장식된 문양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있었습니다.

발견 직후 향완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보존 처리를 받았습니다. 보존 처리 과정에서 손상된 문양을 복원하고, 향완의 전체적인 상태를 개선하였습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으며, 누구나 관람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고려시대의 금속공예 기술이 집약된 작품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고려시대의 불교 문화와 금속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또한, 고려시대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기회가 되면 국립중앙박물관에 방문하셔서 전시된 자태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